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09. 하늘에 반짝이는 불꽃놀이 같은 소녀, 스파클: 일본의 마츠리

최애의 스타레일

by 크리스틴 2025. 1. 11. 19:10

본문

이 글은 스파클을 다루는 본편 두 번째 글입니다. 본편 두 번째 글의 주제는 일본의 마츠리입니다. 스파클은 일본식 전통 신발인 조리(草履)를 신고 있으며, 기모노를 떠올리게 하는 치렁치렁한 긴 소매의 의상을 입은 것은 물론이고, 기모노를 입은 후에 두르는 허리띠인 오비(帯)를 착용하고 있어 일본풍 캐릭터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캐릭터의 이름을 로컬라이징하는 과정에서 한국어 버전이 영어 버전의 'Sparkle'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설정과 이름 간에 괴리감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어지는 세 번째 글에서도 일본 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는 점 미리 알려드리니 혼동하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1. 불꽃놀이와 축제

일본의 마츠리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으로 불꽃놀이를 들 수 있습니다. 스파클의 일본어 버전 이름인 '花火(はなび. 하나비)'는 불꽃놀이를 의미하는 일본어입니다. '꽃 모양을 띠는 불꽃'이라는 뜻처럼 하늘로 쏘아 올린 불꽃이 둥글게 퍼지는 모양새가 마치 꽃이 피어나는 것과 흡사해서 붙여지게 된 불꽃놀이. 일본에서는 언제부터 불꽃놀이를 즐겼을까요? 또, 일본인에게 불꽃놀이는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을까요?

 

일본에 불꽃놀이가 들어오게 된 때는 에도 시대(1603~1868)입니다. 에도(江戸)는 메이지 시대 때 교토(京都, Kyoto)에서 도쿄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도쿄(東京, Tokyo)를 부르던 이름이었습니다. 1603년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1543~1616)를 1대 쇼군으로 하여 에도 막부가 세워지기 전까지의 일본은 여러 장수가 자신의 세력을 이끌며 천하를 지배하기 위해 다투던 시기를 겪었습니다. 이 시기를 전국 시대(戰國時代)라고 칭합니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와 구분하기 위하여 일본어 원어 발음을 살린 표기인 '센코쿠 시대'로 명명하기도 합니다.

 

에도 막부가 세워지고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1613년, 영국의 지휘관이었던 존 사리스(John Saris, 1580~1643)가 영국과 일본의 통상 무역을 성사시키기 위해 다양한 것을 배에 싣고 일본에 오게 되었습니다. 불꽃놀이는 이때 가지고 왔던 서양의 선진문물이었습니다. 일본에 들어온 지 얼마 안 됐던 불꽃놀이는 서양인들만의 즐길거리에 불과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일본 국내의 크고 작은 분란이 에도 막부에 의해 진압되고 평화로운 시대가 지속되면서 생활이 안정된 일본 서민들도 점차 불꽃놀이를 즐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1732년, 서일본을 중심으로 대기근이 발생했습니다. 여기에 콜레라까지 돌면서 많은 사람이 굶주림과 병으로 목숨을 잃게 되었죠. 당시 쇼군이었던 토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 1684~1751)는 굶주림과 병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도쿄 아사쿠사를 흐르는 스미다강(隅田川. 일본어로는 스미다가와로 읽습니다)에서 위령제를 열었습니다. 이 위령제 때 죽은 사람들의 애환을 달래고 역병이 퇴치되기를 기원하는 차원에서 불꽃놀이를 실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스미다강의 위령제를 시작으로 마츠리에 편입된 불꽃놀이는 마츠리와 연관이 깊은 일본 전통 종교인 신토(神道)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일본어로 축제를 의미하는 마츠리라는 표현은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 있는 동사 '祀る/祭る(まつる: 두 동사 모두 '마츠루'로 읽습니다)'에서 유래했습니다. 한 마디로 이야기하면, 마츠리의 본래 목적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감사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일본도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명을 이룬 국가답게 농촌에서는 올해의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고 내년의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신에게 제사를 지냈습니다. 한편, 도시에서는 전염병이나 태풍, 홍수 등의 천재지변을 피하는 것에 유래를 둔 마츠리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스미다강 위령제 당시 행해졌던 불꽃놀이가 콜레라 퇴치를 비롯해 죽은 사람의 영혼을 달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던 것처럼 불꽃놀이 또한 이러한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안전과 평화를 기원하는 것 외에도 불꽃놀이는 신을 영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엄청난 굉음과 함께 터지는 폭죽, 그리고 폭죽 안에 있던 화학물질이 연소반응을 일으키며 나타나는 형형색색의 불꽃, 인간의 청각과 시각, 두 가지 감각을 깨우게 하는 불꽃놀이 특성상 신의 관심을 사람에게로 돌릴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인데요. 마츠리에서 보게 되는 미코시(神輿. 신위를 모시는 가마)나 다시(山車. 인형이나 꽃 등으로 장식한 수레), 이를 따라가는 가장 행렬도 불꽃놀이와 비슷하게 신의 관심을 끌어 신이 어디로 강림해야 할지 알려주는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합니다.


2. 여우와 축제

HoYoLab 붕괴: 스타레일 공식 계정 제공

 

불꽃놀이 말고도 스파클이 평소에 착용하는 여우 가면 또한 일본의 마츠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물건입니다. 스파클을 상징하는 동물로 여우가 선택된 이유를 꼽으라고 한다면, 변신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만이 아니라 일본의 설화에서도 구미호가 여성으로 둔갑해 남성을 홀리는 존재로 묘사되는데요. 스파클의 능력은 여우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지만, 정작 스파클의 여우 가면은 여우의 긍정적인 이미지, 그러니까 이나리신의 사자라고 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궁금해 할 만한 부분은 이나리신이 누구인가, 또 이나리신의 사자로서의 여우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일 텐데요. 이번에는 불꽃놀이와 다르게 항목을 나누어서 설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나리 신앙

 

먼저, 이나리신이 누구인지 알아볼까요. 이나리신은 벼 도(稻)를 쓰고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일본의 농경 문화와 밀접한 신입니다. 이나리라고 하는 발음 또한 벼가 생겼다는 의미의 '이네(稲: 훈독)나리(爲: 훈독)'라는 표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니 이나리신에게 부여된 역할이 농경인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그런데 이나리신은 농경 문화에 기원을 두고 있으면서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역할이 부여되어 여러 영역을 주관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역사 이야기를 잠시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나리신은 일본에 처음부터 존재하던 신이 아니었습니다. 이나리신을 믿는 이나리 신앙이 일본으로 전래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은 711년 일본으로 건너간 가야·신라계 이민족인 하타(秦)씨 일족입니다. 하타씨 일족은 교토에 이나리신을 모시는 후시미이나리신사를 창건하여 자신들이 섬기는 신인 이나리신을 모셨습니다.

 

하타씨 일족은 양잠과 토목, 건축, 베 짜는 기술 등으로 부를 축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타씨 일족의 생활 양식과 더불어 중세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상공업이 발달하게 된 것 또한 영향을 미쳐서 이나리신이 상공업의 신으로 사람들에게 떠받들어졌는데요. 농경 문화에서 중요했던 풍년과 상공업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기게 된 부, 모두 '번영'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나리신이 상공업의 신이라는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믿었던 사람들의 심리가 투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공업으로 부를 축적한 하타씨 일족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때 교토가 수도가 되면서 정치권력을 얻게 되었고, 도지(東寺, To-ji)라는 이름으로 익숙한 교왕호국사(敎王護國寺)를 건축할 당시 이나리산에서 목재를 제공할 정도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이나리산에서 목재를 쓴 것이 문제가 되었던 것일까요. 『루이쥬고쿠시(類聚国史)』라는 문헌에 따르면, 이나리신이 산에서 나는 나무를 써서 절을 짓는 것에 화가 나 덴노에게 벌로 질병을 내렸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를 듣게 된 덴노는 이나리 신사에 칙사를 파견하여 신위를 위로한 후에 이나리신을 절의 수호신으로 삼았다고 하는데요. 이나리신이 절의 수호신이 되었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나리신이 민중적 기반을 획득한 데 영향을 준 것은 바로 불교, 특히 교왕호국사가 속한 종파인 진언종이었습니다. 진언종은 헤이안 시대 때 널리 퍼진 일본 불교의 여러 종파 중 하나로, 현세에서의 이익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진언종의 영향을 받은 이나리 신앙은 현세에서 이익을 추구하는 성향을 중시하는 서민들의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진언종이 퍼지면서 이나리신 또한 한반도에서 온 이민족만의 신이 아니라 교토를 중심으로 일본 각지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신으로 그 위상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2) 여우와 이나리신

헤이안 시대에서 시간이 지나 중세 시대가 찾아왔습니다. 이 시기에 이나리신에게 단짝 같은 존재가 생기게 됩니다. 이 존재가 바로 이나리신사를 갔을 때 보게 되는 여우입니다. 여우는 이나리 신앙이 일본에 유입되어 교토를 중심으로 서민들의 신앙으로 널리 퍼지게 된 시기보다 훨씬 전부터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한국, 그리고 일본의 토종 여우는 붉은여우(Red fox)라는 품종으로 이름처럼 붉은 털이 자라나는 개체입니다. 붉은여우의 털은 땅의 색과 비슷하여 농경을 중요하게 여기던 고대 일본인들에게 친근함을 주었을 것으로 여겨진다고 합니다. 또한, 붉은여우는 한번에 여러 마리의 새끼를 배고 낳는 것은 물론, 벼 이삭을 노리는 쥐의 천적이기도 하여 이나리신이 주관하는 풍요와도 접점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여우가 이나리신의 사자로 여겨지게 된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나리신의 사자로 소임을 다하는 여우는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람과 이나리신 사이를 오가는 중간자 같은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스파클의 여우 가면에 쓰인 색의 의미를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할까요. 스파클의 여우 가면은 현실에서 보게 되는 여우 가면과 스타일은 다르지만 흰색과 붉은색을 쓰는 점은 같습니다. 흰색(白)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여우의 투명한 색이자 쇠가 땅 밑에 존재하는 것처럼 아래로 모이는 기운을 상징하는 오방색일 때의 흰색은 결실을 뜻하기도 합니다. 붉은색(赤) 또한 오방색에 속하죠. 오방색으로서의 붉은색은 강한 양기를 띠고 있어 동지 때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에서처럼 악한 귀신을 쫓는 색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일본 신토에서는 '가면을 쓰면 신이 깃든다'고 여겼습니다. 여우 가면을 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이나리신과 거리가 가까워졌다고 생각했겠죠. 여기에 스파클의 여우 가면에 쓰인 흰색과 붉은색이 상징하는 것처럼 이나리신이 액을 막아주고 풍년, 재물 같이 좋은 결실을 이룰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맡으니 신이 여우에게 하사한 행운과 복을 받고 있다고 여겼을 것입니다. 마츠리 때 여우 가면이 자주 보이는 이유, 이것은 어쩌면 좋은 일만 가득하기를 바라는 대중의 심리에서 우러나온 수요에 공급이 발맞추어 가기 위해서이지 않을까요.

 

  3) 여우와 불꽃놀이

 

마지막으로, 여우와 불꽃놀이는 관련이 있을까요? 정답은 바로 '예'입니다. 일본 역사에서 불꽃놀이의 독자적인 발전을 이룩하는 데 영향을 끼친 불꽃놀이 업체인 카기야와 타마야는 이나리신사의 여우 석상을 보고 상호명을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나리신사의 여우 석상은 벼 이삭, 두루마리, 구슬, 열쇠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는 경향이 있는데요. 카기야에서 카기(鍵: 열쇠 건)는 열쇠, 특히 쌀 창고를 열거나 닫을 때 쓰는 열쇠를, 타마야에서 타마(玉: 구슬 옥)는 곡물에 깃든 영혼, 이른바 곡령(穀靈)을 의미합니다. 불꽃놀이 폭죽을 만들고 판매하는 데 주력한 업체들인 만큼 화재 예방이 아무래도 관건일 수밖에 없었겠죠. 또한, 서민들의 즐길거리였던 불꽃놀이 폭죽을 판매함으로써 매출이 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나리신의 사자로서 이나리신이 내리는 축복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여우와 관련 있게 지은 것으로 보입니다.


콘텐츠 내용 요약 이미지


참고하거나 사용한 자료 일람

  1. 서적

  • 장남호 외 8인(2013), 이야기와 감동이 있는 일본문화 탐방, 궁미디어(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 국내 저자 논문

  • 박규태(2009), 교토와 도래인: 하타씨(秦氏)와 신사(神社)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45호, 한양대학교 동아시아 문화연구소, 247~292.
  • 박규태(2011), 현대일본의 회사종교: 회사신사를 중심으로, 일본사상 제20호, 한국일본사상학회, 25~49.
  • 이경미(2011), 한중일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여우, 석당논총 제51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119~160.
  • 홍성목(2015), 고대 일본의 여우 이미지와 신앙에 관하여  -『니혼료이키(日本霊異記)』의 여우설화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66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171~194.
  • 홍성준(2023), 근세 일본의 불꽃놀이의 양상과 그 의미, 일본학연구 제68권,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61~80.

 

  3. 국외 저자 논문

  • 中藤保則(2008), 稲荷信仰と鼻面稲荷社, 信州短期大学紀要 巻 19,  信州短期大学, 34~37.

 

  4. 웹사이트

[JAPAN TRAVEL PLANNER에 2023년 11월을 기준으로 작성된 마츠리와 관련된 기사]

 

「お祭り」って何?日本人は何故お祭りに情熱を燃やすのか? - ANA

【ANA公式】日本全国に数十万あると言われるお祭り。お神輿(みこし)、踊り、山車など、その種類も様々。美しい景色が見たい!歴史や文化が知りたい!一緒に盛り上がりたい!この記事

www.ana.co.jp

※ 주의: 일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일본어를 모르는 분들은 번역기를 이용하거나 페이지 가장 아래쪽 English page를 눌러서 영어 버전 기사를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5. 각종 이미지

  • 오픈소스 이미지인 일본 도트 지도
 

[フリーイラスト] ドットで描かれた日本地図 | パブリックドメインQ:著作権フリー画像素材集

 

publicdomainq.net

※ 주의: 일본과 관련된 삼지선다 퀴즈를 맞혀야 해당 이미지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스파클 전용 광추 '속세에서의 유희'
 

Welcome to HoYoWiki!

This is the database co-built by HoYoLAB editors and players~

wiki.hoyolab.com

 

  • 작가: hot-sun

https://pixabay.com/ko/photos/%ED%86%A0-%EC%98%A4-%EC%BF%84-%EC%95%84%EC%82%AC%EC%BF%A0%EC%82%AC-%EC%84%BC%EC%86%8C%EC%A7%80-4942411/

 

  • 작가: inannamartin

https://pixabay.com/ko/photos/%ED%9B%84%EC%8B%9C%EB%AF%B8-%EC%9D%B4%EB%82%98%EB%A6%AC-%EC%8B%A0%EC%82%AC-%EC%A3%BC%ED%99%A9%EC%83%89-2708942/

 

  • 작가: Pexels

https://pixabay.com/ko/photos/%EC%97%AC%EC%9A%B0-%EB%8F%99%EB%AC%BC-%EC%86%A1%EA%B3%B3%EB%8B%88-%EC%B6%94%EC%9A%B4-1850186/

 

  • 토쿠가와 이에야스의 초상화는 위키백과에서 가져왔습니다.

By Kanō Tan'yū - Osaka Castle main tower, Public Domain,

 

File:Tokugawa Ieyasu2.JPG - Wikimedia Commons

 

commons.wikimedia.org

 

  • 에도 막부(토쿠가와 가문)의 문장은 Lemon-s라는 분이 직접 만들었습니다.

By Lemon-s - Own work, Public Domain,

 

File:Tokugawa family crest.svg - Wikimedia Commons

 

commons.wikimedia.org

 

  • 이나리신의 모습을 그린 옛 그림은 나무위키에 있는 것을 가져왔습니다. 해당 그림을 그린 작가가 누구인지, 또 어디에 실려 있는 그림인지 다양하게 찾아보고 싶었지만 블로그 운영자의 검색 역량이 부족한 것인지 명확한 정보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나리

MBC 프로그램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의 줄임말 신(神) 이나리(稲荷) 이나리 稲荷 파일:이나리 신.jpg 곡물

namu.wiki

 

  6. 아이콘

  • 작가: shmai
 

Fireworks Generic Flat icon | Freepik

Download this Fireworks icon Generic Flat, and create your best design project with Freepik icons.

www.freepik.com

 

  • 작가: Freepik
 

Peace symbol Special Flat icon | Freepik

Download this Peace symbol icon Special Flat, and create your best design project with Freepik icons.

www.freepik.com

 

  • 작가: Vitaly Gorbachev
 

Torii gate Vitaliy Gorbachev Flat icon | Freepik

Download this Torii gate icon Vitaliy Gorbachev Flat, and create your best design project with Freepik icons.

www.freepik.com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