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3.2 후반부 복각 캐릭터로 Dr. 레이시오가 선정된 것을 기념하여 작성되었습니다. Dr. 레이시오 콘텐츠는 본편 2개의 글로 구성되었으며, 여러분이 보고 있는 이 글은 본편 첫 번째 글에 해당됩니다. 본편 첫 번째 글의 주제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으로, Dr. 레이시오의 본명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해 우주정거장 개척 후문 「스스로 부른 화」에서 드러난 Dr. 레이시오의 가치관을 정리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지식인이자 교육자이기도 한 Dr. 레이시오가 교육을 바라보는 태도는 과연 어떤 철학자의 사상과 닮았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본론에서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Dr. 레이시오의 본명은 베리타스 레이시오입니다. 음성을 지원하는 한국어와 일본어, 중국어, 영어 모두 이름은 베리타스로 통일된 것과 다르게 성씨 레이시오는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는 '레이시오'로, 중국어는 '라티오(라디아오)'로 부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Dr. 레이시오의 성씨가 사실은 레이시오가 아니라 라티오일 것으로 추정되는 첫 번째 이유는 그의 출신과 관련이 있습니다. 왼쪽에 있는 천외 위성 통신 이미지에 그려진 기둥의 주두(柱頭) 부분은 고대 그리스 건축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이오니아 양식(Ionic order)을 띠고 있는데요. 이오니아 양식은 튀르키예 서쪽 해안가에 있는 이오니아(Ionia) 지방에서 기원전 6세기에 발원한 건축 양식으로, 양머리 수건 모양을 닮은 소용돌이 모양 주두가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Dr. 레이시오의 출신이 고대 그리스와 관련 있는 행성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 하니 3버전의 메인 스폿, 앰포리어스가 떠오르는 분들도 분명 있겠죠. 그런데 Dr. 레이시오의 고향이 앰포리어스가 아니라는 사실은 그의 캐릭터 스토리 1을 읽어보면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앰포리어스는 오른쪽 이미지에서처럼 광력(光曆)을 쓰지만, Dr. 레이시오의 고향은 철인력(哲人曆)이라는 역법을 따르고 있는데요. 여기서 철인이라는 한자어는 철학자를 달리 이르는 표현으로, 철인이라는 단어를 통해 Dr. 레이시오의 고향이 수사학과 철학이 발전하는 한편, 학생들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사립 학교가 생기기 시작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한정하자면 아테네를 배경으로 삼고 있음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를 설명했으니 두 번째 이유도 있으리라 짐작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두 번째 이유는 이름 베리타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베리타스는 라틴어의 단어입니다. 라틴어는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가 중심이 되는 라치오(Lazio) 지방에서 유래하여 고대 로마의 공용어로 쓰인 고전 언어인데요. 라치오 지방은 과거 라티움(Latium)으로 불렸는데, 라티움의 형용사형이 바로 라틴(Latin)이라고 합니다.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삼는 행성 출신이라면서 이름은 라틴어라는 것이 생뚱맞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라틴어를 표기하는 라틴 문자는 그리스 서쪽 지방에서 쓰인 그리스 문자를 변형하여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듯 언어를 표기하는 데 쓰인 문자나 오늘날 필독 0순위로 일컬어지는 신화 등 고대 로마가 고대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여럿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더라도 베리타스라는 라틴어 이름에 라티오라는 라틴어 성씨가 오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느껴지는데요. 어디까지나 저의 추측이기는 하지만 한국어와 일본어, 영어에서 성씨를 '레이시오'라고 번역하게 된 사정에는 성우들이 연기를 할 때 발음하기 편하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부분이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라틴어 라티오(ratio)는 '비율'이라는 뜻 외에도 '이성'이라는 뜻으로도 쓰이는 다의어입니다. 이성은 생각(사유)과 판단하는 능력을 뜻해 감성과 대비되죠. 아카이브에 수록된 Dr. 레이시오의 대사에는 ‘생각’이라는 단어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성혼 활성화
생각을 통해서가 아니면, 자신을 알 수 있는 다른 수단은 없어
턴 대기
천천히 잘 생각하고 결정해
전투 스킬 2
생각을 멈추지 마
이름 베리타스(veritas)는 ‘진리’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철학은 흔히 ‘인간이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진리를 찾아가는 학문’으로 정의되죠. 이러한 부분을 종합해서 본 본명 베리타스 레이시오는 철학에서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이성적인 사고와 비판을 통한 진리의 깨달음을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Dr. 레이시오가 추구하는 가치관도 이름에 담긴 의미처럼 생각을 중시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제 그의 가치관을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 개척 후문 「스스로 부른 화」의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스스로 부른 화」의 주제는 '개인의 성장'입니다. 이러한 주제 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방법이 문답법(問答法)인데요. 문답법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기원전 470년~기원전 399년)가 고안한 방법입니다.
문답법은 크게 반어법과 산파술로 나뉩니다. 반어법(反語法)은 대화를 나누는 상대방이 틀린 점이나 모르는 점을 깨우칠 수 있도록 질문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때 대화 상대방은 자신의 의견을 더는 피력하기 어려운 자가당착에 빠지게 되는데요. 이때의 상태를 지적 무기력 상태라고 일컫습니다.
지적 무기력 상태가 된 상대방 입장을 한번 생각해볼까요. 상대방은 자신의 생각이 틀렸을 수도 있다는 점이나 자신이 무엇인가를 몰랐다는 점을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 것입니다. 여기에 자신의 생각이 틀렸다, 또는 자신이 무엇인가를 몰랐다는 사실을 스스로 밝히는 것조차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더는 대화를 나누고 싶어 하지 않을 수도 있겠죠. 이런 이유 때문에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 교육의 일환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적 무기력 상태에 빠진 상대방이 무지를 고백할 수 있을 정도로 변화하는 모습과 그 모습을 보일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기다려 줄 수 있는 인내심이 관건이 됩니다.
상대방이 지적 무기력 상태에서 나아가 깨달음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에는 산파술로 넘어가는데요. 산파술(産婆術)에서 산파는 아이를 낳을 때 아이를 받고 산모를 도와주는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소크라테스는 상대방에게 지식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스스로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때 올바른 개념을 이해하고 난 후에 도달하게 되는 진리는 보편적으로 타당하면서도 절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참된 이치를 의미합니다.
문답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해 봤으니 이제 「스스로 부른 화」의 내용에 대입해 봐야겠죠. 「스스로 부른 화」의 전체 스토리 중 문답법은 헤르타의 사무실에 갔던 개척자가 폐쇄된 캐빈에서 정신이 들고 난 후부터 등장합니다. 이제 개척자에게 무슨 일이 생겼고, 또 개척자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단체 대화방 채팅 내용을 통해 헤르타 인형이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개척자는 인형이 상주하는 사무실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개척자가 정신을 차렸을 때는 폐쇄된 캐빈에서 스크루룸과 아스타가 우주정거장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두고 논쟁을 벌이는 상황이었습니다. Dr. 레이시오(이하 레이시오로 칭함)는 정신이 든 개척자를 헤르타 인형이 실종되기 전 마지막으로 목격한 사람이라고 지적하며 개척자에게 헤르타 인형을 마지막으로 본 시점에 무엇을 했는지 질문했습니다.
이 질문에 개척자가 고를 수 있는 선택지는 총 세 가지였지만,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결과는 '시치미 떼지 말고 잘 생각해 봐'라는 대답으로 돌아오는데요. 이때의 개척자는 기억이 흐릿해진 상황을 의식적으로 알게 된 상태에 해당되며, 오히려 레이시오에게 시치미 뗀다는 취급을 받았다는 점 때문에 지적 무기력 상태에 빠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이 무죄라는 사실을 증명해야 하는 개척자가 지적 무기력 상태를 극복하는 방법은 습격 이전에 있었던 일을 어떻게든 떠올리는 것밖에 없겠죠. 개척자는 레이시오가 기다려 주는 동안 누구와 어디서 만났고,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곰곰이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끊겨버린 기억의 퍼즐을 맞추는 데 성공한 개척자는 레이시오가 주장하는 내용의 허점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증거를 대며 자신이 무죄임을 스스로 입증해내는데요. 이때의 개척자는 질의를 통해 그동안 일어났던 사건을 정리함으로써 진리, 즉 사건의 진에 도달하는 데 성공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 부른 화」의 결말 부분에서 레이시오는 지니어스 클럽 #76 회원이자 스크루룸 행성의 주인이기도 한 스크루룸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레이시오가 스크루룸에게 들려준 이야기가 문답법의 의의와도 직결되는데요. 아기가 걸음마를 뗄 때 수도 없이 주저앉고 넘어지는 과정을 반복하다 결국 어느 누구의 도움 없이 걸을 수 있게 되는 것처럼 무지한 상태를 깨닫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발견하는 과정을 거치며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 이것이 바로 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문답법이 지니는 의의에 해당됩니다.
이런 가치관을 가진 그의 입장에서 어리석은 사람이란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사람이 되겠죠. 레이시오는 소멸파의 수장 「명화대공」 이프리트가 우주정거장에서 벌인 인체 발화 사건과 헤르타 인형 실종 사건을 겪은 연구원들의 모습을 보며 우주정거장에서 일하는 연구원들 역시도 천재인 헤르타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데 급급해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주정거장에도 지식학회처럼 천재는 없다'는 말로 우주정거장의 현실을 꼬집은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고요.
레이시오는 이렇듯 교육자로서 엄격한 부분이 있고, 자기 생각을 가감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스타일이라 상대하는 것조차 힘들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캐릭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정거장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개척자와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인정(人情)이 있는 캐릭터임에는 분명해 보입니다.
[이성(理性)]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진리(眞理)]
네이버 국어사전
3개의 한국어 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상세검색, 맞춤법, 보조사전
ko.dict.naver.com
[이오니아 양식]
이오니아 양식
고대 그리스 미술의 장식양식. BC 7세기 초부터 소아시아의 에게해 연안에 거주하던 이오니아인 사이에서 발달하여, BC 6세기 이후 아테네를 비롯해서 그리스 전역에 전파되었다. 도리스 양식이
terms.naver.com
[철학]
철학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개설] 철학이란 용어는 오늘날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철학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한 가지 개념으로 분명
terms.naver.com
[문답법]
문답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답법은 비판적 사고의 과정을 이끌어주는 방법의 하나이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Socratic method) 또는 산파술이라고도 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은 흔히들 산
ko.wikipedia.org
[라틴어]
라틴어
넷플릭스 독일 드라마 바바리안 에서 묘사된 고전 라틴어 게르만족 들은 현대 독일어 (이탤릭체)를 사용하고 있다.
namu.wiki
[로마자]
로마자
로마자 ( 라틴어 : Abecedarium Latinum, 영어 : Latin script/Roman script
namu.wiki
https://pixabay.com/photos/acropolis-athens-greece-ancient-2725918/
※ 사진 속 장소는 아테네에 있는 에레크테이온 신전입니다.
By Thomas Wolf, http://www.foto-tw.de, CC BY-SA 3.0 de,
File:Akademie von Athen.jpg - Wikimedia Commons
From Wikimedia Commons, the free media repository
commons.wikimedia.org
[튀르키예 지도]
CM:H LTD STI Provinces of Turkey Turkish Kurdistan Map, turkey, angle, white, monochrome png | PNGWing
License Non-commercial use, DMCA Contact Us
www.pngwing.com
[이탈리아 지도]
Regions of Italy Blank map City map, map, white, monochrome, road Map png | PNGWing
License Non-commercial use, DMCA Contact Us
www.pngwing.com
23. 계략으로 영웅이 된 고양이, 사이퍼라 1편: 계략의 불씨 반환 전 이야기 (0) | 2025.06.14 |
---|---|
22. 지식으로 사람을 치료하려는 의사, Dr. 레이시오 2편: 그리스 신화 (0) | 2025.05.04 |
20. 앰포리어스 최초의 반신, 트리스비오스 2편: 그리스 로마 신화 (1) | 2025.03.15 |
19. 앰포리어스 최초의 반신, 트리스비오스 1편: 설정 정리 (0) | 2025.03.08 |
18. 정신적 불안을 행운으로 상쇄하며 살아온 모략가, 어벤츄린: 상징 분석 (0) | 2025.02.02 |